
큰 코끼리가 홀로 숲속을 거닐듯이
자유로이 주체적으로 살아가라는
옛 경전의 글귀를 소개합니다.

Go alone like a lion that is not startled by loud noises, like the wind that does not get caught in a net, like a lotus that does not get wet by water, and like the horn of a rhinoceros that walks alone in the wilderness.
큰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와 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과 같이, 물에 젖지 않는 연꽃같이, 저 광야에 외로이 걷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숫타니파타 中에서-
📌 숫타(Sutta)는 경전, 니파타(Nipata)는 모음(集)을 말하므로 숫타니파타는 팔리어로 《경전들의 모음》을 말합니다.
Go alone like a lion that is not startled by loud noises,
혼자서 가라.( Go alone) 사자와 같이(like a lion) 그건(that) 아니다.(is not) 놀라게 했던 상태(startled) 가까이에서 영향을 미치는 힘은(by) 큰 소리들( oud noises)
🌱 홀로 가라. 큰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와 같이 🌱
✅ is not startled : 수동태 문장
▶수동태는 ‘이미 벌어져 있는 상태(무엇 했던 상태-p.p.)이다(be)’인데, 여기에서 ‘이미 벌어져 있는’은 과거시제에 해당하고, ‘상태’는 형용사의 본질이므로 수동태에는 과거도 표현하고 형용사의 성질도 갖는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 과거분사 : 무엇 했(이었)던(과거) 상태(형용사) → 과거형용사
▶be동사와 과거분사가 결합해서 무슨 화학반응을 일으켜 수동태라는 존재가 탄생한 것이 아니라 ‘수동태(passive)’의 느낌은 과거분사에만 있는 것입니다. be동사를 쓴 이유는 단지 ‘~이다’처럼 문장을 끝맺기 위한 것입니다.
▶startle은 한국식 수동태처럼 ‘놀라지다’ 의 뜻이 아닙니다. ‘~을 놀라게하다’ 의 뜻입니다.
▶전치사 by의 원뜻은 ‘가까이에’ 입니다. 가까이에 있으면 영향을 미치므로 수동태 문장에서 by는 ‘ 가까이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힘은’의 느낌으로 쓰입니다.
like the wind that does not get caught in a net,
바람처럼( like the wind) 그건(that) 가지지 않는(does not get) 잡았던 상태를(caught) 그물 안에( in a net)
🌱 그물에 잡히지 않는(걸리지 않는) 바람과 같이 🌱
✅ get : (앞에 없는 것을) 가지다
✅ take : (앞에 있는 것을) 가지다
like a lotus that does not get wet by water,
연꽃처럼(like a lotus) 그건(that) 가지지 않는(does not get) 젖은 상태를(wet) 물에 의해(by water)
🌱 물에 젖지 않는 연꽃같이 🌱
and like the horn of a rhinoceros that walks alone in the wilderness.
그리고 무소의 뿔처럼(like the horn of a rhinoceros) 그건(that) 외로이 걷는(walks alone) 광야에서(in the wilderness)
🌱 그리고, 저 광야에 외로이 걷는 무소의 뿔처럼 🌱
✅ rhinoceros [rainάsərəs] 코뿔소, 무소

'교육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료시제(완료형)의 진실 5편 - 미래완료 완벽 정리 (226) | 2024.03.04 |
---|---|
무병장수(無病長壽) 10계명 - 10 Commandments for Healthy Longevity (182) | 2024.03.03 |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들 (Ways to overcome depression) (281) | 2024.02.28 |
행복 십계명 (The 10 Commandments of Happiness) (233) | 2024.02.26 |
완료시제(완료형)의 진실 3편 - 현재완료형의 완료용법, 결과용법, 현재완료형과 과거 의미 부사(구), for와 since (218) | 202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