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전반

원어민이 자주 쓰는 영단어 - wonder, interest, please

by 풀뿌리 편지 2023. 12. 24.
반응형

 

wonder 몹시 놀라다, 몹시 궁금해하다

 

⑴ wonder의 어원은 ‘(시계태엽을) 감다’라는 뜻의 wind입니다. 여기에서 의미가 확장되어 ‘눈이 핑핑 돌아가다’라는 뜻이 나옵니다. 사람의 눈이 돌아가는 경우는 ①놀라운 것을 보았을 때 (‘몹시 놀라다’의 뜻을 가짐) ②왜 그런지 이유를 모를 때 (‘몹시 궁금해하다’의 뜻을 가짐)입니다.

 

⑵ ‘몹시 놀라다’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

Sometimes his behavior makes me wonder.

가끔 그의 행동은 만든다.(makes) 내가(me) 몹시 놀라는(wonder) 상태를 (가끔 그의 행동은 나를 몹시 놀라게 한다.)

 

⑶ ‘몹시 궁금해하다’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

Have you ever wondered why the sky is blue?

당신은 몹시 궁금해한 적이 있나요?(Have you ever wondered) 왜 하늘이 파란지 (why the sky is blue)

 

⑷ wonder가 명사로 쓰인 경우

① 몹시 놀라운 일

No wonder this country is in a mess.

어떤 놀랄 일이 아니다.(it is no wonder) (그건that) 이 나라가 있는 것(is) 무엇 안에(in) 혼란 (전혀 놀랄 일이 아니다. 이 나라가 혼란 속에 있다는 것은)

☞No 앞엔 ‘It is’가 너무 당연히 생략되어 있습니다.

 

② 몹시 궁금해 하는 것

The seven Wonders of the World.

일곱 가지 몹시 궁금해하는 것들(Wonders) 무엇의 일부로서의(of) 세계 → 세계 7대 불가사의(不可思議)

 

 

 interest : ~의 사이에 있다

 

⑴ interest의 원뜻은 '~의 사이에(inter=between) 있다(est=is)'입니다.

 

⑵ 어떤 것의 사이에 있다는 것은 '관심, 흥미'가 있기 때문이고, '참가, 관계' 도 역시 어떤 것의 사이에 있는 상태입니다. 이익과 이자는 투자한 것과 돌려받는 것의 사이에 있는 것이고, 권리는 양자 간의 사이에 있는 어떤 힘을 의미합니다. 주식은 회사와 주주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고. 나머지는 존재하던 것들과 필요한 것의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라는 그림이 그려집니다. 결국 interest가 수많은 뜻으로 사용되나 본래는 하나의 그림인 '~의 사이에 존재하다'라는 개념이고, 이 그림을 상황에 따라 비유적으로 다양하게 사용한 것일 뿐입니다.

 

 

please : (무엇이 원하는 것을) 하게 해 주다

 

⑴ please의 어원

① please의 뜻은 ‘제발’이 아니라, ‘무엇이 원하는 것을 하게 해 주다’이며 동사입니다. 여기에서 ‘기쁘게 하다, 제발’ 등의 의미가 파생된 것입니다.

plea 청원(원하는 것을 하게 해달라고 청함) / plead 청원하다

 

② please를 명령문에서 사용하면 생략된 주어인 you가 행위주체가 되어 ‘당신이 (무엇이 원하는 것을) 하게 해 주세요=당신 행위를 부탁해요’가 되기 때문에 명령(강요)이 아닌 안 해도 그만인 부탁이 되고, 그 부탁하는 입장에선 행위자가 변형이 없는 ‘행위(상태) 자체’를 해주기를 바라므로 ‘행위(상태) 자체’를 표현하는 원형부정사를 사용해야 하는 것입니다.

 

③ Nothing could please me more, honestly.

어떤 것도 할 수 없었다.(Nothing could) 원하는 것을 하게 해주는 것(please) 내가 원하는 것 을(me) 더, 솔직하게 (어떤 것도 더 이상 나를 즐겁게 할 수 없었다. 솔직하게)

여기서 please는 원형부정사이고, me는 please의 목적어입니다.

 

Please yourself.

하게 해 주세요.(please) 당신 자신이 원하는 것을(yourself) (스스로 하고 싶은 대로 하세요.)

 

⑤ I am pleased to meet you here.

나는 이다.(am) 하게 해 줬던 상태(기쁜 상태)(pleased) 만나서(to meet) 너를 여기에서 (나는 기쁘다. 너를 여기에서 만나게 되어)

pleased : 원하는 것을 하게 해 주니 기쁠 것이고, 여기에서 ‘기쁜’이라는 뜻이 나온 것입니다.

 

⑵ please의 명령문은 부탁이며 부탁내용은 원형부정사를 씁니다.

Please excuse me.

(당신이) 하게 해 주세요.(please) 용서하는 것(excuse) 나를 (양해해 주세요.)

excuse는 please의 목적어인 원형부정사입니다.

 

⑶ 기초회화의 please 역시 모두 동사 (원형부정사)

Can I get dollars for this, please?

할 수 있나요?(can) 나 가지는 것(I get) 달러를(dollars) 무엇만을 생각하면서(for) 이 돈 (this), 하게 해 주실래요?(please) (이 돈을 달러로 바꿀 수 있나요? 부탁드려요.)

 

 

: 클 비

 

비(丕) : 한 일(一) + 아니 불(不) → 하나가 아님 → 크다
비도(丕圖) : 클 비(丕) + 그림 도(圖) → 큰 그림 → 웅대한 계획
♥ 비업(丕業) : 클 비(丕) + 업 업(業) → 큰 사업 → 나라를 세우는 큰 사업
♥ 비훈(丕訓) : 클 비(丕) + 가르칠 훈(業) → 큰 가르침 → 큰 교훈

 

원어민이 자주 쓰는 영단어 학습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