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전반

원어민이 자주 쓰는 영단어 5편 - put, hang, suppose

by 풀뿌리 편지 2023. 12. 21.
반응형

 

원어민이 자주 쓰는 영단어
put, hang, suppose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put 무엇을 놓다 

 

⑴ put은 언제나 목적어 다음 도착지점을 위치부사 등으로 표시합니다. 놓게 되면 어디에 놓았는지를 명시해야 합니다. 그래서, put 다음에는 목적어 뒤에 도착지점을 위치부사 등으로 표시합니다.

I put my bag.(×)

 

⑵ put +목적어 + 도착지점

① She puts it on the table.

그녀는 놓는다.(puts) 그것을 / 무엇에 덧붙어서 위에(on) 그 테이블 (그 테이블 위에) (그녀는 놓는다. 그것을 테이블 위에)

 

Put your name down.

놓아라.(put) 너의 이름을 아래에(down) (적어라. 너의 이름을 아래에)

 

Put your hands up.

놓아라.(put) 너의 두 손을(your hands) 최고치까지 위로(up) (들어라. 두 손을)

 

⑶ put + 전치사구

① He put on his backpack.

그는 놓았다.(put) 그의 가방을(his backpack) 무엇에 덧붙어서(on) (그 자신) (그는 멨다. 가방을)

his backpack은 put의 목적어이고 on은 부사로 사용됐습니다. 따라서 ‘put his backpack on’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on의 목적어 himself 생략

 

② He put on airs.

그는 놓았다.(put) 공기들을(airs) 무엇에 덧붙어서(on) (그 자신) (그는 잘난 체했다.)

airs는 put의 목적어이고 on은 부사로 사용. 따라서 on의 목적어 himself가 생략되었음

그 자신에게 덧붙게 한 것이 겨우 공기들이라는 것은 허세를 부린다는 의미이겠죠. 따라서, 여기에서 ‘잘난 체하다’라는 의미가 나오는 것입니다.

 

 

hang 무엇을 매달다

 

⑴ 무엇인가를 매달려면 매달 대상(목적어)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무엇을 매다는 것인지 분명하거나 그 대상을 밝힐 필요가 없을 경우 자동사로도 사용합니다.

 

Hang your cap on the hook.

매달어라. 너의 모자를 / 무엇에 덧붙어서(on) 모자걸이(the hook) (걸어라. 너의 모자를 모자걸이에)

 

⑶ hangover : 술에 취한 상태(숙취 상태)

① 정상적인 현실을 덮어(over) 두고 다른 무엇에 매달려 흔들리고 있는 비정상적인 정신상태를 말합니다.

 

② I have a hangover.

나는 가지고 있다.(have) 술에 취한 상태를(숙취를) (hangover) (난 숙취상태야.)

 

⑷ hang out : 밖에서 놀다

① hang(정신을 매달다) + out(밖에) → 밖에서 놀다

② Do you want to hang out with me tonight?

너 원하니?(want) 밖에서 노는 것(to hang out) 무엇과 함께(with) 나 오늘밤 (오늘 밤 나랑 같이 놀래?)

 

⑸ hang around : 놀다

① hang(정신을 매달다) + around(주위에) → 놀다

② The boy always hangs around with his friends.

그 소년은 항상(always) 논다.(어울린다.)(hangs around) 무엇과 함께(with) 그의 친구들 (그 소년은 항상 그의 친구들과 논다.)

 

 

 suppose ~이라고 생각하다

 

⑴ suppose : sup(sub아래에) + pose(put두다) → ‘(실제로 두는 것은 아니지만) 멀리 있던 것을 눈 아래에 두었다고 생각을 해보다’라는 그림에서 ‘~이라고 생각하다’라는 뜻이 나옵니다.

 

⑵ Let us suppose that he is innocent.

허락하자.(let) 우리가(us) 생각하는 것(suppose) / 그건(that) 그가 결백하다고 (생각해 보자. 그가 결백하다고)

 

⑶ be supposed to부정사 : 무엇 하(이)기로 되어 있다 (~해야 한다)

① be supposed to부정사 : be(~이다) + supposed(생각했던 상태) + to부정사(무엇하기로 되어 있는) → 무엇하기로 되어 있다고 생각했던 상태이다 → 무엇 하(이)기로 되어 있다(~해야 한다)

 

② You were supposed to be here an hour ago.

너는 있기로 되어 있다.(were supposed to be) 여기에(here) 한 시간 전에 (너는 왔어야 했다. 여기에 한 시간 전에)

 

③ 'be supposed to'는 규칙, 습관, 약속에 따른 의무나 예정에 대해서 말할 때 쓰이고 따라서, 공식적인 상황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should는 '~하는 게 좋다'라는 제안이나 충고를 할 때 쓰입니다.

Employees are supposed to abide by internal regulations.

직원들은 해야 한다.(are supposed to) 지키는 것(abide by) 사내규정을 (직원들은 사내규정을 지켜야 한다.)

We should have a meeting today.

우리는 하는 게 좋겠다.(should) 가지고 있는 것(have) 회의를(a meeting) 오늘 (우리는 오늘 회의를 했으면 좋겠다.)

긍정형
should have to be supposed to
조언 or 충고 단순의무 (규칙,습관,약속에 따른) 의무
~하는 게 좋겠다 ~해야 한다 ~해야 한다
부정형
shouldn`t don`t have to be not supposed to
~하지 않는 게 좋겠다 ~할 필요가 없다 ~하면 안 된다

 

 

오늘의 한자(漢字)

부수
(部首)
部首(거느릴부, 머리수)’란 글자들의 공통부분으로서  대표(머리)’가 되어 글자들을 거느리는 글자입니다. 예컨대, (나무목)과 관련되거나 이라는 글자가 포함된 글자들은 부수에 속하는 것입니다.

부수를 알면 모르는 글자가 나왔을 때 한자사전을 찾기 쉽습니다. 하지만, 그 외에는 부수가 하는 일이 별로 없어서 모든 글자의 부수를 알 필요는 없습니다.

 

一 : 한일 부(部) (1획)
(지팡이) + (사람)

지팡이를 든 사람이네요. 어른이 드는 것이 지팡이니까 어른이란 뜻이 나왔네요.

장인(丈人): 아내의 아버지

장모(丈母): 아내의 어머니

대장부(大丈夫): 건장하고 씩씩한 사내

 

원어민이 자주 쓰는 영단어 학습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