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전반

주요 단어 - marry, win, miss / 한자 교육의 필요성

by 풀뿌리 편지 2023. 12. 23.
반응형

원어민들이 자주 쓰는 영단어
marry, win, miss에 대해 살펴보고
한자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잠깐
생각해 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marry : ~와 결혼하다

 

⑴ 결혼의 종류는 사람과 하는 결혼 밖에 없으므로 사람이 목적어로 옵니다.

 

⑵ 어감 차이

① Tom married Debra.

탐은 결혼했다.(married) 데브라와

☞탐이 데브라를 선택한 느낌임

 

② Tom married with Debra.

탐은 결혼했다.(married) 무엇과 함께(with) 데브라

어쩔 수 없이 결혼한 느낌임

 

③ Tom is married to Debra.

탐은 이다.(is) 결혼했던 상태(married) 무엇을 목표로(to) 데브라

be를 사용하여 결혼한 상태를 강조하는 느낌임

 

④ Tom got married to Debra.

탐은 가졌다.(got) 결혼했던 상태를(married) 무엇을 목표로(to) 데브라

'get(앞에 없는 것을 가지다)' 때문에 ‘노력하여 결혼했다’란 느낌입니다. 

married는 과거분사로서 형용사의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바로 목적어를 취할 수 없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전치사가 필요합니다. 결혼에까지 이르기 위해서는 남, 녀 모두 상대방만을 목표로 그 사람의 마음에 도착할 때까지 노력해야 하므로 전치사 to가 가장 어울립니다. (전치사 to : 무엇을 목표로 하여 도착할 때까지)

 

⑤ Jane married money.

제인은 결혼했다.(married) 돈과

사람보단 돈을 보고 돈과 결혼했다는 의미입니다.

 

 

win : (정복하거나 이겨서) 무엇을 차지하다 

 

 ⑴ He won three medals.

그는 차지했다.(won) 세 개의 메달을 (그는 새 개의 메달을 땄다.)

 

⑵ She won his heart.

그녀는 차지했다.(won) 그의 마음을 (그녀는 그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miss : 빗맞히다

 

⑴ Hurry up or you can`t miss the crowds.

서둘러라.(hurry up) 아니면(그렇지 않으면)(or) 너는 할 수 없다.(can`t) 빗맞히는 것 (miss) 그 군중을 (서두르지 않으면 rush hour를 피할 수 없다)

 

⑵ The last bullet missed the target.

마지막 총알은 빗맞혔다.(missed) 과녁을(the target) (과녁을 빗나갔다.)

 

⑶ I`m missing you.

나는 이다.(am) 빗맞히고 있는 상태(missing) 너를 (나는 그리워하고 있다. 너를)

보고 싶은 사람과 딱 마주쳐야 하는데 자꾸 빗나가니 그리워하게 되는 것입니다.

 

 

한자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1. 제대로 된 국어 공부와 논리적인 글쓰기를 위해 한자공부는 필수적

▶우리말의 약 70% 이상은 한자어이며 그중 80%는 동음이의어이므로 한자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우리말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습니다.

한자를 모르면 언어 활용능력이 떨어지고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없어 학교공부에 대한 이해력이 떨어집니다.

수학능력시험에서 출제되는 옛날문체와 국한문 혼용체의 지문이 있는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한자 능력이 요구됩니다.

어휘력의 부족은 독서 이해능력을 저하로 이어져 문장력을 키우기가 어렵고,  사고력의 형성을 저해하며, 논술에 필요한 논리적인 글쓰기를 어렵게 합니다.

 

2. 초·중 · 고 교과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한자공부는 필수적

초등학교 6학년 사회 교과서에 실린 ‘재판’에 관한 내용 중 주요한 어휘를 살펴보면 ‘재판’ ‘사법부’ ‘판사’ ‘판결’ ‘신분’ ‘민사재판’ ‘형사재판’‘법원’ ‘대법원’ ‘삼심제도’ 등의 한자표현이 있습니다.

위의 내용들을 한글로만 표기하였을 때, 요즘 학생들은 우리말인데도 한자를 모르는 탓에 말뜻도 알지 못한 채 외국어 외우듯이 외우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영어, 수학, 과학 등 모든 교과과목의 개념어 등 주요어휘가 한자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자공부가 필수적입니다.

 

3. 한자를 공부하지 않고서 국제화를 논하지 말 것

21세기에는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협력과 경쟁 관계가 가속화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중국어, 일본어의 기본 바탕인 한자를 알지 못하고는 국제화 시대에 적응할 수 없습니다.

 

4. 한자를 모르면 전공 서적의 용어 대부분을 이해하기 힘듦

전문학술 분야에서 한자를 모른다면 진정한 지식인이 되지 못하며, 대학생이 되어 한자를 모르면 전공과목의 용어 대부분을 이해하기 힘듭니다.

특히 고급어휘의 대부분이 한자어인데도 한자교육을 외면한 결과, 기초적인 교과어휘·전문어휘에 대한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잘못 사용하거나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안타까운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고 학문을 올바로 정립시키기 위하여서 한자교육을 강화하는 것은 선택이나 고려의 문제가 아니라, 당위이자 필수입니다.

 

5. 사회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한자가 필수적

한자를 모르면 명함이나 신문, 논설을 읽지 못할 것이고, 수준 높은 대화를 이해하지 못해 답답함을 느낄 것입니다..

대기업과 다수의 중소기업에서 취업 및 승진 시 일정한 수준의 한자 실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 차

「部首(거느릴부, 머리수)」 글자들의 공통부분으로서 ‘대표(머리)’가 되어 글자들을 거느리는 글자입니다. 예컨대, 木(나무목)과 관련되거나 木이라는 글자가 포함된 글자들은 ‘木 부수’에 속하는 것입니다
♥부수를 알면 모르는 글자가 나왔을 때 한자사전을 찾기 쉽습니다. 하지만, 그 외에는 부수가 하는 일이 별로 없어서 모든 글자의 부수를 알 필요는 없습니다.
1. 차(且) : 땅(一) 위에 또 올리고 또 올렸네요. → 또 차 (一 : 한일 부)
2. 차치(且置) : (이전의 것은 문제 삼지 않고) 또 놓음 → 내버려 두고 문제 삼지 않음

▸재미는 차치하더라도 이토록 나의 영혼을 울리는 블로그 글이 있었던가? 
3. 구차(苟且) : 진실로 구 + 또 차 진실로(苟) 말이나 행동이 당당하지 못하고 또(且) 떳떳하지 못함

 

주요동사 학습 글입니다.